박물관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설립배경 및 연혁 조직 및 주요업무 박물관로고 주요시설 박물관스케치 MOU기관 |
이용안내 오시는길 관람안내 층별안내 예약안내 모바일기기전시안내 대관신청 주차안내 |
전시안내 상설전시 특별전시 테마전시 박물관가상체험 백제3D여행관 유적안내 |
소장품관리 소장품 수집정책 소장유물검색 유물구입 유물기증 유물열람 유물사진복제 |
교육홍보 박물관 문화달력 교육신청 문화행사 영상자료 |
백제학 연구 연구소 소개 학술회의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 백제학연구소식 |
열린마당 공지사항 고시공고 보도자료 민원서식 자주하는질문 시민참여마당 |
자료실 정보자료실 미관기증자료실 학술자료실 박물관간행물 간행물 수령증 |
|
조선고분벽화집 (朝鮮古墳壁畵集)
2014-02-27
|
상세내용
고구려고분벽화그림이다. 조선고분벽화집(朝鮮古墳壁畵集)이라고도 한다. 고구려고분벽화의 그림과 사진으로 이루어진 책이다. 물건을 담는 작은 상자인 갑(甲)과 49장의 낱장 종이로 이루어져 있다. 책갑 상자는 매듭 끈이 삭았으며, 갑은 겉장은 오염되고, 안의 접히는 부분은 헤졌다. 안쪽 아래 가로 면과 접히는 덮개면 일부는 접혀서 종이가 찢어졌다. 겉면은 베로 감쌌는데 오염되었다. 모서리 군데군데가 파손되었다. 갑은 다섯 면으로 만든 전개도 형태로 종이를 안에 넣고 감싼 형태이다. 상자 겉은 두꺼운 종이를 베로 씌었으며 좌측에 긴 네모 형태의 구멍을 파서 매듭 끈을 베 안쪽으로 넣었다. 다른 쪽 매듭 끈은 겉 상자 왼쪽 옆면에 긴 네모 형태의 구멍을 파서 베 안쪽으로 넣었다. 책 가운데 크게 비단을 붙여 아래 낙관을 찍고 그 위에 『朝鮮古墳壁畵集』이라고 썼다. 우측 상단에 육각형의 종이를 붙였는데 그 안에는 책의 일련번호를 적을 수 있고, 맨 아래에는 “三宅淸藏書”라는 출판사명을 표시하였다. 상자 안쪽은 문양 있는 종이를 덧대었다. 가운데에 “三宅淸圖書”라는 낙관을 찍은 종이를 잘라 붙였다. 오른쪽 상단에는 꽃무늬 도장을 찍어 大正5年(1916) 1月에 제작하였으며 가격은 メ円이라고 수기로 기록하였다. 안쪽에는 발행날짜(大正五年一月三十一日), 인쇄날짜(大正五年一月二十五日), 발행기관(李王職發行), 컬러인쇄자 이름, 주소, 콜로타이프 인쇄자, 주소가 적힌 종이가 붙어 있다. 본문은 군데 군데 접혔다 펴진 부분이 관찰된다. 49장으로 이루어졌는데, 49-1과 49-2는 일본어ㆍ영어로 된 조선벽화집 해설이 있다. 49-3과 49-4는 전경사진이고 49-5와 49-6은 도면이다. 그 뒤는 벽화 내부 사진과 그림인데, 49-7과 49-20~49-22, 49-30~49-32, 49-35, 49-39~49-49는 흑백으로 되어있다. 49-8~49-17, 49-23~49-27, 49-33, 49-34, 49-36~49-38은 컬러로 되어 있다. 갑 1점, 종이 49점. |
페이지 담당부서 : 유물과학과담당자 : 최영미주무관
02-2152-5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