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백제학연구소 전경 사진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

HOME > 백제학 연구 > 발굴조사 >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2021)

2021년에는 8호 적석묘의 성토층 및 하부 목관(곽)묘 확인, 12호 적석묘 남쪽 경계 확장, 1호분 주변 적석묘 성토층 및 하층 유구에 대한 정밀조사를 진행했다. 8호 적석묘에 대한 그간의 조사가 트렌치를 활용한 한정된 공간에 대한 면조사 및 평·단면 조사에 그쳤다면 2021년에는 교란에 의한 훼손이 덜한 성토층 일부를 하강하여 매장주체부를 탐색하기 위한 면조사 및 하부 조사를 진행했다. 또한 1호분 주변에서는 단위 적석묘의 축조 양상 파악 및 하층 목관묘 및 수혈 등에 대한 정밀조사를 병행했다. 현재까지 파악된 유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시대유구

2015∼2020년

백제

연접적석총(적석묘 28기, 매장의례부 3개소, 구획적석목관묘 1기, 연접부 14개소)·목관묘 4기·토광묘 2기·주거지 1기

조선

건물지 2기

2021년

백제

8호 적석묘 성토층 조사 및 하부 목관묘 5기, 1호분 주변 적석묘 성토층 조사 및 하층 목관묘 1기·토광묘 1기, 수혈 2기

총계

연접적석총(적석묘 28기, 매장의례부 3개소, 구획적석목관묘 1기, 연접부 14개소)·목관묘 10기·토광묘 3기·주거지 1기·수혈 2기/건물지 2기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사진(2021)


연접적석총 8호 적석묘 및 하부 목관(곽)묘 사진 1호분 주변 연접적석총 연접 양상 사진
[8호 적석묘 및 하부 목관(곽)묘] [1호분 주변 연접적석총 연접 양상]
8호 목관묘 및 9호 목관묘 부장품 사진
[8호 목관묘 및 9호 목관묘 부장품]

서울 석촌동 고분군(사적 제243호) 발굴조사(2020)

조사개요


  • ○ 조사위치 :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7길 21(석촌동 248일원)
  • ○ 조사면적: 5,290㎡
  • ○ 조사기간: 2015년 10월 28일 ∼ 완료시까지
  • ○ 허가번호: 문화재청 허가 제2015-1030호
  • ○ 조사목적: 유적 전모 확인 및 성격 규명을 위한 정밀발굴
  • ○ 조사성과

 

[표 1] 유구 현황표

구분

시대

유구

2015∼2019년

백제

연접적석총(적석묘 13기, 매장의례부 3기, 구획적석목관묘 1기, 연접부 10기)·목관묘 4기·토광묘 2기·주거지 1기

2020년

백제

연접적석총(적석묘 15기 및 연접부 4개소 추가)

조선

건물지 2기

총계

연접적석총(적석묘 28기, 매장의례부 3기, 구획적석목관묘 1기, 연접부 14기)·목관묘 4기·토광묘 2기·주거지 1기/건물지 2기

 

[2015∼2019년]

  연접적석총은 다수의 중·소규모 적석묘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거대한 적석총을 의미한다. 적석묘들은 직사각형의 연접부를 사이에 두거나 또는 직접 잇대어 연접되었다. 이들은 깬돌로 외곽을 쌓는 동시에 안쪽에 돌을 채우거나 흙을 쌓는 방법으로 축조되었다. 북쪽의 1호·4호 적석묘를 시작으로 동·서·남 세 방향으로 확장되었고 그 북편에는 묘역 경계시설이 가로 놓여 있다.

  1호, 4호, 7호 등 주요 적석묘의 동편에는 상장의례를 거행했던 공간이 연접되어 있다. 1호 매장의례부에서는 막새를 비롯하여 수백 점의 기와와 토기들, 금 귀걸이, 달개 장식, 유리구슬과 같은 장신구가 출토되었다. 이 중에는 강한 화염을 입어 일그러지거나 흙덩어리와 녹아 달라붙은 것도 있다. 유물 속에서 높은 온도로 화장하여 파쇄된 사람뼈 조각들이 뒤섞여 나왔다. 인골은 총 4.3㎏이 출토되었는데, 이는 여러 명의 인체에 해당하는 양이다. 7호 매장의례부에서는 동일 부위의 뼈가 여러 점 씩 수습되기도 하여 화장된 인체는 최소 3개체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진자료(2015~2019)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및 발굴조사 구역 전경 1호 적석묘와 매장의례부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및 발굴조사 구역 전경] [1호 적석묘와 매장의례부]
1호 매장의례부 수막새 [1호 매장의례부 암,수키와 1호 매장의례부 용도미상토제품
[1호 매장의례부 수막새] [1호 매장의례부 암·수키와] [1호 매장의례부 용도미상토제품]
1호 매장의례부 금장신구 7호 매장의례부 중국 청자 7호 매장의례부 화장인골
[1호 매장의례부 금장신구] [7호 매장의례부 중국 청자] [7호 매장의례부 화장인골]

[2020년]

2020년에는 연접적석총의 8호 적석묘에 대한 추가 조사와 함께 시굴조사를 통해 유구가 확인된 1호분 및 A호 적석총 주변을 확장하여 정밀 발굴조사를 진행했다.

8호 적석묘는 내부를 성토기법으로 축조하였는데, 동쪽 기단에 붙여 흙을 쌓기 시작하여 서쪽으로 경사를 이루며 높여 나갔다. 이 성토부 내에 매장주체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150×250㎝ 범위를 구획하여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성토층 중간에서 크고 작은 규모의 깬돌과 토기편, 철못, 꺾쇠, 중국제 청자호, 대롱옥 등이 목탄과 함께 섞여 있는 면이 확인되었다. 이에 모종의 의례 행위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쪽 기단 아래에서는 지진구로 보이는 외반구연호와 광구장경호가 출토되었다.

1980년대에 발굴조사 후 정비된 1호분 및 A호 적석총 주변에서는 15기의 적석묘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1호분과 함께 모두 연접적석총의 묘역에 포함된 것으로 밝혀져 백제 왕실 적석총의 새로운 묘제로 주목받고 있다. 

 

사진자료(2020)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구역 전경 새로 추가된 적석총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구역 전경] [새로 추가된 적석총]
8호 적석묘 8호 적석묘 성토층
[8호 적석묘] [8호 적석묘 성토층]
8호 적석묘 성토층 출토유물 8호 적석묘 지진구 세발토기
[8호 적석묘 성토층 출토유물] [8호 적석묘 지진구] [세발토기]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2015-2021)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 ○ 조사지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방이동 88-3)
    • ○ 조사면적: 7,500㎡
    • ○ 조사기간: 2015년 3월 17일 ∼ 2021년 12월
    • ○ 허가번호: 문화재청 허가 제 2015-0186호 / 제 2019-0517호
    • ○ 조사목적
      • - 백제왕도유적인 몽촌토성의 축조 및 경영시기, 성격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
      •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에서 확인된 집수지, 도로, 주거지 등 백제 유적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
    • ○ 조사성과
      • - 삼국시대 대형 목곽집수지, 구획식 포장도로, 수혈주거지 3동, 구상유구 2기, 수혈유구 32기 이상, 굴립주건물지, 초석건물지 다수
      • - 통일신라시대 도로 2기, 굴립주건물지 2동, 공방지 1동, 수혈주거지 30동 이상, 수혈유구 2기, 발자국집중면 2개소 확인
      • - 다량의 목재유물(목간, 머리 빗, 쟁기, 가공목재 등)과 동·식물 유존체(동물뼈와 골각기, 박으로 만든 용기, 짚으로 꼬은 새끼줄, 각종 씨앗류, 백합·고둥 등의 조개껍데기 등), 토·도기류(백제·고구려 토기편, 중국 육조시대 시유도기편, 원반형 토제품, 방추차, 그물추, 벼루편 등), 석기류(갈돌, 숫돌, 석환 등) 출토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 발굴조사 사진자료


몽촌토성 발굴조사 현장 원경 북문지 내측 Ⅰ·Ⅱ지구 현황도
(몽촌토성 발굴조사 현장 원경) (북문지 내측 Ⅰ·Ⅱ지구 현황도)
몽촌토성 북문지 내측 발굴조사 전경 북문지 내측 Ⅱ지구 조사현황
(북문지 내측 Ⅰ지구 전경) (북문지 내측 Ⅱ지구 조사현황)
집수지 조사 중 평면현황 굴립주건물지 및 수혈유구 집중면
(집수지 조사 중 평면현황) (굴립주건물지 및 수혈유구 집중면)
官자명 토기 집수지 출토 목간 삼국시대 유구 출토 돌절구
[官자명 토기] [집수지 출토 목간] [삼국시대 유구 출토 돌절구]
연가 8호수혈유구 출토 백제토기 삼국시대 도로유구 출토 고구려토기
[연가] [8호수혈유구 출토 백제토기] [삼국시대 도로유구 출토 고구려토기]
집수지 내 쟁기 노출 현황 집수지 내 박, 박씨 노출 현황 집수지 내 가공석재(숫돌) 노출 현황

[집수지 내 쟁기 노출 현황]

[집수지 내 박, 박씨 노출 현황]

[집수지 내 가공석재(숫돌) 노출 현황]

몽촌토성 서북지구 목책 재설치 구간 (2014)

몽촌토성 서북지구 목책 재설치 구간 발굴조사

  • ○ 조사지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방이동 88-3))
  • ○ 조사면적: 144㎡
  • ○ 조사기간: 2014년 10월 23일 ~ 2014년 11월 14일(실조사일수 15일)
  • ○ 허가번호: 문화재청 허가 제 2014-0994호
  • ○ 조사결과
    • - 토축성벽 및 기둥(영정주永定柱)구덩 확인
    • - 1983년도 성벽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기둥구덩은 목책구덩이가 아닌 영정주를 세우기 위한 기둥구덩으로 밝혀짐
    • - 성벽 다짐토에서 장란형토기, 고배편 등이 출토

몽촌토성 서북지구 목책 재설치 구간 발굴조사 사진자료

조사지역 전경 북동단벽 토층(성벽 다짐토 및 목주흔)
[조사지역 전경] [북동단벽 토층(성벽 다짐토 및 목주흔)]
성벽 하단부 토제土提-목주흔 성벽 다짐토 내 출토 토기류
[성벽 하단부 토제土提-목주흔] [성벽 다짐토 내 출토 토기류]

몽촌토성 서북지구(`13~`14)

몽촌토성 서북지구 발굴조사

  • ○ 조사지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올림픽공원 내 내성농장)
  • ○ 조사면적: 3,500㎡
  • ○ 조사기간: 2013년 11월 11일 ~ 2014년 9월 2일(실조사일수 130일)
  • ○ 허가번호: 문화재청 허가 제 2013-0889호
  • ○ 조사결과
    • - 백제 한성기 도로, 통일신라 마을유적 확인
    • - 백제 한성기-통일신라-조선시대 문화층이 층서를 이루며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
유구/유물 시대유구주요유물
백제 도로(2), 주거지(1), 구상유구(1) 등 중국 육조 청자편·시유도기편, 고배, 삼족기
연가, 기대편, 완 등
통일신라 주거지(18), 우물(1), 도로(1) 등 호, 완, 대부완, 방추차, 쇠낫, 숫돌 등
조선∼근대 건물지 적심, 수혈건물지 기와, 백자편, 옹 등

몽촌토성 서북지구 발굴조사 사진자료

조사지역 항공사진 백제 도로 백제 주거지-수혈유구 구상유구
[조사지역 항공사진] [백제 도로] [백제 주거지-수혈유구 구상유구]
백제 주거지 출토 유물 통일신라 4호 주거지 통일신라 4호 주거지 출토유물
[백제 주거지 출토 유물] [통일신라 4호 주거지] [통일신라 4호 주거지 출토유물]

몽촌토성 현황, 조사성과(`83~`86)

몽촌토성의 현황과 80년대 조사성과

  몽촌토성은 한강의 바로 남쪽 강변에 위치한 백제 성터이다. 이 성터는 나지막한 언덕과 언덕사이의 낮은 골짜기를 흙으로 다져 쌓아 성벽을 만들었다. 성의 규모는 둘레가 약 2.4㎞에 달하며, 성벽의 높이는 당시 구지표를 기준으로 12~17m 정도이다.
  이러한 몽촌토성은 오래전부터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1982년도에 국가 사적 제297호로 지정되었으며, 풍납동토성과 함께 백제의 초기 도읍지인 하남위례성으로 비정되기도 하였다.
  몽촌토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는 1983년부터 1989년까지 총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온돌 집자리와 저장시설인 저장구덩이, 연못 등 다수의 백제시대 유구가 발굴되었으며, 이와 함께 당시의 생활·문화상과 중국과의 교류를 엿 볼 수 있는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중국과의 교류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벼루·접시 등의 중국 청자(靑磁)와 동전문양이 새겨진 전문도기(錢文陶器), 금동제 허리띠장식 등의 출토는 몽촌토성이 백제 한성기의 왕성일 가능성을 제기하게끔 하였다.

(표 1) 1980년대 몽촌 토성 연도별 조사내용

년도발굴지역발굴기관조사내용
유구주요유물
1983 성벽4개 지점 서울대 박물관 해자, 목책 柱穴, 옹관묘 2     
1984 서북, 동북
동남, 서남
지구
서울대 박물관
숭실대 박물관
한양대 박물관
단국대 박물관
조선시대 건물지, 土壇, 외성 목책, 토광적석묘 3  통형기대, 동진 자기편 등
1985 성 내부, 문지 서울대 박물관 주거지 2, 저장구덩이 13, 토광묘 2, 옹관묘, 토광적석묘 등 직구호, 삼족기, 고배, 기대, ?帶金具, 뼈갑옷, 서진 전문도기.
1987 동북지구 서울대 박물관 주거지 5, 저장구덩이 9, 옹관묘 1, 토광적석묘 1 중국 남조 자기벼루 조각, 백제연화문와당편
1988 동남지구 서울대 박물관 주거지 4, 저장구덩이 7, 적석유구 3, 생활면유구 1, 방형유구 1 등 삼족기, 蓋, 직구호, 난형토기, 심발, 광구장경호, 시루, 호, 옹, 기대, 廣口長頸四耳甕.
1989 서남지구 서울대 박물관 적심건물지, 온돌건물지, 저장구덩이, 연못지, 판축대지 등 백제토기, 고구려토기, 기와, 수막새, 중국자기, 철기 등

몽촌토성 사진 자료

몽촌토성 항공사진 몽촌토성 지형도 몽촌토성 현황실측 평면도
[몽촌토성 항공사진] [몽촌토성 지형도 (1/5,000)] [몽촌토성 현황실측 평면도]

서울 방이동고분군(사적 제270호) 3호분 발굴조사(2017)

서울 방이동고분군(사적 제270호) 3호분 발굴조사(2017)


  • ○ 조사지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125, 248번지 일대
  • ○ 조사면적 : 1,500㎡
  • ○ 조사기간 : 2017년 3월 30일 ~ 2017년 11월 30일
  • ○ 허가번호 : 문화재청 제 2017-0233호
  • ○ 조사목적
    • - 서울 방이동 고분군(사적 제 270호) 3호분의 봉분에 발생한 이상현상(함몰 및 쏠림)의 원인을 진단하고, 고분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하여 보존 정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함.
  • ○ 조사경과
    • - 1차 학술자문회의 및 전문가 검토회의 : 발굴조사 방향 수립을 위한 사전회의
    • - 2차 학술자문회의 : 봉분 및 사면부 트렌치 조사내용
    • - 3차 학술자문회의 : 봉분 및 석실 묘도~연도 조사내용
    • - 4차 학술자문회의 : 봉분 및 석실 내부 1차 조사내용
    • - 5차 학술자문회의 : 봉분 및 석실 내부 2차 조사내용
  • ○ 조사성과
    • - 석실과 호석을 포함한 봉분이 조사되었다. 봉분은 묘도 바닥면에서 최대 높이 4m 정도로 확인되며 점토와 사질점토를 교차 성토하여 고대하게 조성했다. 호석은 할석을 사용하여 봉분 윤곽을 따라 돌렸고 남·동·북쪽에 일부만 잔존한다. 폐쇄석은 1/3 정도만 남아 있고 석실 축조에는 잘 다듬은 할석을 사용했다. 현실 입구에는 평면 형태 장방형의 매끈한 문미석을 올렸다. 천장은 최대길이 2m 정도의 타원형 판석 1매로 덮었다. 묘도에서 현실까지는 강자갈을 전면에 부석했고 남서벽 아래에는 할석으로 조성된 높은 시상의 기저부 일부가 잔존한다. 동벽아래 강자갈 부석면에서는 인골(치아, 턱뼈 등) 및 토기편이 출토되었다.

서울 방이동고분군(사적 제270호) 3호분 발굴조사(2017) 사진자료


방이동고분군 3호분 사진 방이동고분군 3호분 석실 사진
[방이동고분군 3호분] [방이동고분군 3호분 석실]
방이동고분군 석실 입구 사진 방이동고분군 3호분 현실 북벽 사진
[방이동고분군 석실 입구] [방이동고분군 3호분 현실 북벽]

삼성동 토성 추정지 조사(2016)

삼성동 토성 추정지 시굴조사


  • ○ 조사지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방이동 88-3)
  • ○ 조사면적: 7,500㎡
  • ○ 조사기간: 2015년 3월 17일 ∼ 2021년 12월
  • ○ 허가번호: 문화재청 허가 제 2015-0186호 / 제 2019-0517호
  • ○ 조사목적
  • - 백제왕도유적인 몽촌토성의 축조 및 경영시기, 성격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
  • - 몽촌토성 북문지 일원에서 확인된 집수지, 도로, 주거지 등 백제 유적의 구조와 성격을 규명
  • ○ 조사성과
  • - 삼국시대 대형 목곽집수지, 구획식 포장도로, 수혈주거지 3동, 구상유구 2기, 수혈유구 32기 이상, 굴립주건물지, 초석건물지 다수
  • - 통일신라시대 도로 2기, 굴립주건물지 2동, 공방지 1동, 수혈주거지 30동 이상, 수혈유구 2기, 발자국집중면 2개소 확인
  • - 다량의 목재유물(목간, 머리 빗, 쟁기, 가공목재 등)과 동·식물 유존체(동물뼈와 골각기, 박으로 만든 용기, 짚으로 꼬은 새끼줄, 각종 씨앗류, 백합·고둥 등의 조개껍데기 등), 토·도기류(백제·고구려 토기편, 중국 육조시대 시유도기편, 원반형 토제품, 방추차, 그물추, 벼루편 등), 석기류(갈돌, 숫돌, 석환 등) 출토 

삼성동 토성 추정지 시굴조사 사진자료


추정성벽구간 및 트렌치 배치도 구상유구 평·단면 (7트렌치) 성토구조 남벽토층(7번트렌치)
[추정성벽구간 및 트렌치 배치도] [구상유구 평·단면 (7트렌치)] [성토구조 남벽토층(7번트렌치)]
초기철기시대 유물 (7트렌치) 영정주 추정 기둥열 (1트렌치) 석렬유구 (4트렌치)
[초기철기시대 유물 (7트렌치)] [영정주 추정 기둥열 (1트렌치)] [석렬유구 (4트렌치)]

페이지 담당부서 : 담당자 :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