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소개 인사말 설립목적 설립배경 및 연혁 조직 및 주요업무 박물관로고 주요시설 박물관스케치 MOU기관 |
이용안내 오시는길 관람안내 층별안내 예약안내 모바일기기전시안내 대관신청 주차안내 |
전시안내 상설전시 특별전시 테마전시 박물관가상체험 백제3D여행관 유적안내 |
소장품관리 소장품 수집정책 소장유물검색 유물구입 유물기증 유물열람 유물사진복제 |
교육홍보 박물관 문화달력 교육신청 문화행사 영상자료 |
백제학 연구 연구소 소개 학술회의 백제왕도유적 발굴조사 백제학연구소식 |
열린마당 공지사항 고시공고 보도자료 민원서식 자주하는질문 시민참여마당 |
자료실 정보자료실 미관기증자료실 학술자료실 박물관간행물 간행물 수령증 |
유구/유물 시대 | 유구 | 주요유물 |
---|---|---|
백제 | 도로(2), 주거지(1), 구상유구(1) 등 | 중국 육조 청자편·시유도기편, 고배, 삼족기 연가, 기대편, 완 등 |
통일신라 | 주거지(18), 우물(1), 도로(1) 등 | 호, 완, 대부완, 방추차, 쇠낫, 숫돌 등 |
조선∼근대 | 건물지 적심, 수혈건물지 | 기와, 백자편, 옹 등 |
몽촌토성은 한강의 바로 남쪽 강변에 위치한 백제 성터이다. 이 성터는 나지막한 언덕과 언덕사이의 낮은 골짜기를 흙으로 다져 쌓아 성벽을 만들었다. 성의 규모는 둘레가 약 2.4㎞에 달하며, 성벽의 높이는 당시 구지표를 기준으로 12~17m 정도이다.
이러한 몽촌토성은 오래전부터 그 중요성이 인식되어 1982년도에 국가 사적 제297호로 지정되었으며, 풍납동토성과 함께 백제의 초기 도읍지인 하남위례성으로 비정되기도 하였다.
몽촌토성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는 1983년부터 1989년까지 총 6차례에 걸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온돌 집자리와 저장시설인 저장구덩이, 연못 등 다수의 백제시대 유구가 발굴되었으며, 이와 함께 당시의 생활·문화상과 중국과의 교류를 엿 볼 수 있는 다량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중국과의 교류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벼루·접시 등의 중국 청자(靑磁)와 동전문양이 새겨진 전문도기(錢文陶器), 금동제 허리띠장식 등의 출토는 몽촌토성이 백제 한성기의 왕성일 가능성을 제기하게끔 하였다.
(표 1) 1980년대 몽촌 토성 연도별 조사내용
년도 | 발굴지역 | 발굴기관 | 조사내용 | |
---|---|---|---|---|
유구 | 주요유물 | |||
1983 | 성벽4개 지점 | 서울대 박물관 | 해자, 목책 柱穴, 옹관묘 2 | |
1984 | 서북, 동북 동남, 서남 지구 |
서울대 박물관 숭실대 박물관 한양대 박물관 단국대 박물관 |
조선시대 건물지, 土壇, 외성 목책, 토광적석묘 3 | 통형기대, 동진 자기편 등 |
1985 | 성 내부, 문지 | 서울대 박물관 | 주거지 2, 저장구덩이 13, 토광묘 2, 옹관묘, 토광적석묘 등 | 직구호, 삼족기, 고배, 기대, ?帶金具, 뼈갑옷, 서진 전문도기. |
1987 | 동북지구 | 서울대 박물관 | 주거지 5, 저장구덩이 9, 옹관묘 1, 토광적석묘 1 | 중국 남조 자기벼루 조각, 백제연화문와당편 |
1988 | 동남지구 | 서울대 박물관 | 주거지 4, 저장구덩이 7, 적석유구 3, 생활면유구 1, 방형유구 1 등 | 삼족기, 蓋, 직구호, 난형토기, 심발, 광구장경호, 시루, 호, 옹, 기대, 廣口長頸四耳甕. |
1989 | 서남지구 | 서울대 박물관 | 적심건물지, 온돌건물지, 저장구덩이, 연못지, 판축대지 등 | 백제토기, 고구려토기, 기와, 수막새, 중국자기, 철기 등 |
페이지 담당부서 : 백제학연구소담당자 : 최진석주무관
02-2152-5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