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한성백제박물관 낮 전경 사진

HOME > 박물관소개 > >

박물관 시설

  • 2F : 카페테리아, 하늘정원, 전망대
  • 1F : 전시공간[상설 제2,3전시실, 4D영상관]
  • B1F : 전시공간 [로비, 기획전시실, 상설 제1전시실] 지원공간 [관장실, 사무실, 회의실] 뮤지엄샵
  • B2F : 교육공간 [강당, 정보자료실, 강의실, 세미나실, 교육운영실] 수장공간 [수장고(1~4), 정리실, 세척실, 촬영실] 주차장
  • B3F : 수장공간, 전기실, 기계실, 주차장

박물관 건축개요

구조 : 철근콘크리트구조
층수 : 지하3층 지상2층
대지면적 : 14,894㎡
연면적 : 19,423㎡
주용도 : 문화 및 집회시설
설계사 : (주)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감리사 : (주)정림건축,(주)신화ENG,(주)고라ENG
시공자 : 건축,토목,기계,조경 - (주)포스코건설, (주)고덕종합건설
            전기 - 화성전력, 현성ENC
            통신 - (주)만호

건축특징

한성백제박물관 건물 외형은 몽촌토성의 윤곽을 나타내면서도 해양국가 한성백제를 상징하는 배모양으로 디자인하였으며 주변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면서 지역상징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건물이 비스듬한 것은 바다에 떠 있는 배를 나타낸 것이다. 백제는 한강과 서해를 통해 중국, 일본과 무역하면서 국력을 키워나갔다. 몽촌토성과 700m 떨어져 있는 풍납토성이 배 모양일 정도로 백제는 해양국가를 꿈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백제의 해양국가 특징을 건물에 반영했으며 옥상에 있는 엘리베이터는 돛을 나타냈다.

옥상은 박물관 앞에 보이는 몽촌토성 모양을 나타냈으며,토성을 올라가듯 경사지게 만들었다.몽촌토성은 남한산성 끝자락 자연구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만든 성이다. 그래서 모양이 정연하지 않고 들어가거나 튀어나온 곳이 있다.(몽촌토성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것은 자연구릉을 이용 하다보니 낮은 곳에 흙을 메워 만들었기 때문이다.)

페이지 담당부서 : 담당자 :    

맨 위로 이동